크레딧 애널리스트라는 배문성 애널..

MD는 무당?! 

전세는 채권이다. 집주인이 전세라는 자금을 조달하며 주거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돈을 구하기 쉬울 때는 채무자가 갑이 된다. 그러나 자금조달이 어려워질수록 채권자가 갑이 된다.

서울 강남 도곡렉슬 34평형과 부산 더샵센텀파크 34평형 전월세는 10년간 요지부동이었다.

이곳들은 교통과 학군이 거의 완성형이다. 그래서 확 좋아질만한 요인이 전혀 없다. 상승동력이 떨어지지만 안정된 주거지.

그러나, 감가상각도 존재할 수 밖에 없다. 월세가 유지되는 것은 이러한 감가상각을 상쇄하면서 간 것.

유동성이 이를 소화할 수 있을때는 괜찮지만, 그게 막혀버리는 상황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9qq5n2k6C2Y&t=2191s 

 

Posted by Lecardo
,

https://www.youtube.com/watch?v=f7grq_xvHWY 

재개발 재건축은 75% 동의를 얻어야 조합설립.

리모델링은 67%(2/3) 동의를 얻어야 조합설립이 가능.

하중증가분에 대해 기초를 보강해야 하고, 지하 공사를 통해 보강이 가능하다.

 

아파트는 벽이 기둥이고 이를 보강하려면 벽을 까야하고, 지하로 내려가야 기둥이다.

 

수직증축은 안전진단 -> 안전검토 를 총 4회 거쳐야 한다. 우리나라에 수직증축 성공사례는 송파구 1군데밖에 없다.

수평은 안전진단으로 바로 끝나는데, 수직은 매우 어려움.

2013년도에 리모델링 활성화를 위해 수직증축을 허용했지만 지금껏 사례가 1건도 없었음

 

2013년 전에는 안전진단밖에 없어서 사례가 많이 있었다.

리모델링은 성능개량이니까 복잡해짐

Posted by Lecardo
,

https://www.youtube.com/watch?v=LM9sYXf0ZMA 

 

1. 전공정: 웨이퍼 - 산화 - 포토 - 식각 - 박막 - 금속배선

2. 후공정: 전기적 테스트 - 패키징(절단,결합,테스트)

 

후공정 - EDS(Electric Die Sorting)와 Probe

 - 반도체 칩을 Die(플라스틱 판)라고 하고, Singulation은 개별로 웨이퍼를 자르는 것

 

MSVP(Micro Saw Vision Placement)

- 테스트하고 몰딩까지 하고나서 자르는 장비

 

패키징 단계에서 io 배치, 금속배선 등 칩의 성능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한 후공정이 중요해지는 추세

PCB(Printed Circuit Board)

 

캐파는 한달 200 x 12 = 1년 2400대, 10대가 안된다 경쟁사(제너셈?)

80% 전세계 capa, EMI는 90% 점유하고 있다.

 

 

Posted by Lecardo
,

https://www.youtube.com/watch?v=Q0lZdYXOeAk 

 

삼성전자와 반도체의 내년 및 향후 PER은 Foundry에 달려있다.

미세화되는 Gate의 폭 때문에 구조안전성을 위해 양쪽에서 잡아주는 구조가 복잡해짐

근데 10nm까지 가다가 더이상 좁히는게 의미가 없다고 판단되어서 선을 위로 올려버리는 구조가 되어버림

선폭은 안줄여도 성능이 개선됨. FINFET은 선폭은 실제 10nm이지만 성능은 7nm로 내린것만큼 나온다는 것이다.

FINFET은 TSMC에서 만든 공정이다. 인텔은 7nm 공정 시도했다가 실패했다.

게이트 사이즈(선폭)에 따라 장비와 부품 등을 생산하게 된다.

인텔 / TSMC / 삼성

 

향후 7나노 이하의 미세공정은 TSMC와 삼성의 싸움.

UMC나 SMIC 글로벌파운드리는 투자 규모가 적다. TSMC와 삼성의 투자가 압도적이다.

Posted by Lecardo
,

https://www.youtube.com/watch?v=2ttJGyUwx04&t=1993s 

○ 상권 분석

1. 강남 mz세대 20-30을 Trend setter로 보았다. 이들이 가는 장소는 강릉 해안가, 부산, 제주

2. 서울 안에서는 5군데 정도: E-data와 단독 다가구 거래 데이터를 섞어서 보았다. 단독다가구가 최근에 많이 개발되는 곳은 무언가가 일이 일어나는 곳이다. 아예 재개발되어 아파트가 생길 수 있고, 아니면 서래마을처럼 카페로 바뀔수도 있는 것이다. 상권이 뜨고 있는 곳이다.

  - 성수동 클러스터 확장: 동쪽으로 건대, 북쪽으로 마장동(정말 핫한 곳)

  - 을지 충무: 거리는 있지만 붙을 수 있다

  - 용산공원과 효창공원 사이: 삼각지 등 그쪽

  - 영등포구청역 중심으로 십자 형태: 문래동

  - 신분당선 따라서 청계산입구역하고 탄천 그 주변이 다시 잡힌다. 트렌드다. 그주변은 양재천 주변 10년전에 뜰려다가 가라앉았다.

 

○ 시장전망

  - 2019년정도까지의 가격은 인정하여야한다. 2008~18년까지 서울시 소득수준 50% 올랐다. 부동산 수요에 소득도 큰 영향을 준다. 2020년 이후의 가격은 버블이다. 2019~20년에도 서울 공급은 평균이상이었으나 임대차 3법으로 큰 버블이 발생하였다. 

  - 2024년까지 미국 2%이상, 한국은 2.5~2.75 금리 상승 국면에서 부동산 가격은 하락 예상

  - 6억원 이하 아파트의 경우 노원 도봉 성북 거래량이 평균의 30%로 줄었다. 2016년에 99%정도가 6억이하였지만 현재 50% 수준밖에 안된다.(아파트만)

  - 통상 고가주택의 상승하락폭이 크지만 현재 9억이상 대출안나와서 고가주택은 현금구매자이다. 오히려 중저가주택의 하방이 더 위험하다.

Posted by Lecardo
,

1. 비트코인 폭락, 4만불 중반대까지 하락함. 관점은 모르겠음. HOPR는 홀딩

2. 무한돌파 삼국지 코인 시작 낼부터 소탕으로 금방 가능함

3. 농산물 이베스트 이리온 강의

https://www.youtube.com/watch?v=U7Z-QP7a8uI 

 가) 영향주는 변수

    1) 공급: 기후, 질병, 지난crop상황(재고), 재배면적, 수송, 다른 국가들의 작황

      - 공급 컨트롤이 어려움

    2) 수요: Biofuel 정책, 육류 단백질 수요, 수출수요, 질병(병충해 20~40% 영향이슈), 환율, 통상이슈

      - Biofuel: 옥수수 -> 에탄올, 대두 -> 바이오디젤,

      - 육류 단백질 수요: 미국 소고기 수요 감소 추세, 닭고기 대체육 소비 증가, 소고기가 옥수수, 대두 훨씬 많은 양을 소비함(사료 효율이 안좋음, 가성비가 닭의 몇배가 들어감) 트렌드가 소고기에서 닭고기로 이동 시 곡물소비 감소

      - 2050년까지 인구가 50억명 정도까지 증가, 현재보다 식량생산 50% 정도는 늘어나야 함

      - 중국, 인도 등 중산층 증가시 육류소비 증가, 육류 수요 증가시 곡물 소비 증가, 탄소제로도 해야하고

 

- 종류: 설탕, 면화, 커피, 오렌지

 

나) 급등했다 조정받은 옥수수의 대두, 상승중인 밀

  - 옥수수: 사료, 에탄올,

  - 대두: 식용, 사료, 바이오디젤

  - 밀: 식용

  1) 올해 상승이유:

    a. 중국수요증대: 아프리카 돼지열병으로 4억2천만마리에서 40% 살처분, 2억6천만마리

      - 그러나 수요증대 -> 공급증대로 이어졌고 가격하락시 패닉셀로 돼지값폭락

      - 그리고 옥수수/대두 파종면적 확대

    b. 가뭄

      - 라니냐: 적도무역풍이 강해 서태평양은 고온해수, 동태평양 저온해수 현상

      - 엘니뇨: jet stream 이 약해서 라니냐가 약하여 반대되는 현상

    c. 에너지가격상승과 바이오연료

      - RFS 2 에 따른 신재생연료 분류. 정유업체에 의무 할당함. 국내는 현재 2%에서 8%로 기습상향

https://www.e2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36934 

 

바이오디젤 혼합률 기습상향 '후폭풍' -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 이투뉴스

[이투뉴스] 기후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탄소중립이 강조되면서 탄소중립위원회가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상향했다. 여기에는 석탄발전 축소, 연료전환 뿐만 아니라 경유에 바이오

www.e2news.com

나) 향후전망

  - 수요와 공급: 공급측면에서는 원활히 진행될 것으로 봄. 국내같은 경우 RFS증가 등 수요 증가 예상

  - 비용과 파종면적

  - RFS(Renewable Fuel Standard) 변동

 

Posted by Lecardo
,

1. 메지온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내일 향방은?

대차잔고는 계속 상환중이었다. 물량은 줄지만, 금액은 계속 증가중이었고 공매도는 손실로 이어지고 있다.

오늘은 20만원선에서 혼신의 공매도를 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넵튠

 - https://mirakle.mk.co.kr/view.php?year=2021&no=816031 

 

펄스나인, 카카오의 계열사로부터 전략적 투자 유치 완료

넵튠과 인공지능(AI) 그래픽 전문기업 펄스나인(대표 박지은)이 전략적 투자 계약을 체결했다. 투자규모는 비공개다. 펄스나인은 실사형 가상 인물 이미지를 생성하고 직접 촬영한 영상과 합성

mirakle.mk.co.kr

펄스나인 투자?! 

https://www.youtube.com/channel/UCSnQSjVVHs5bHKIpTJ7vqoA

 

PULSE9

© 2021 Google LLC CEO: 선다 피차이 주소: 1600 Amphitheatre Parkway, Mountain View, CA 94043, USA. 전화: 080-822-1450(무료)

www.youtube.com

입모양이 좀 어색한 것만 좀 어떻게 하면 좋을텐데...

 

근데 조회수와 구독자가 생각보다 꽤 되는거같네..

 

https://www.news1.kr/articles/?4408053 

 

넵튠, 라인 손잡고 日 모바일 보드게임 시장 진출

사실 앞에 겸손한 민영 종합 뉴스통신사 뉴스1

www.news1.kr

일본 게임 뉴스도 있다.

 

종토방의 한 장문 글

https://finance.naver.com/item/board_read.nhn?code=217270&nid=195166352&st=&sw=&page=2 

 

네이버 금융

국내 해외 증시 지수, 시장지표, 펀드, 뉴스, 증권사 리서치 등 제공

finance.naver.com

 

Posted by Lecardo
,

1. 디스플레이텍

 - 현대차의 실사 뉴스와 함께 20% 상승했다. 윗꼬리가 달려서 힘이 좀 떨어진것같아서 조정을 줄 것 같고..

뉴스가 후속으로 나올지 알수는 없지만 지금은 매수하기엔 위험한 시점

3월말에 전기신문에서 뉴스를 띄웠고, 7월말에는 팍스넷, 오늘은 다시 전기뉴스에서 띄웠다.

무언가 상황이 무르익어 가는것 같기도 하다.

 

2. 바른손

  - 윤석열 입당에도 아직은 반응이 없다. 본전오면 튀자

 

3. 넵튠 

  - 모멘텀 대기, 무지성 홀딩

 

4. 메지온

  - 무르익어간다. 

Posted by Lecardo
,